Q. 화면을 움직이고 싶은데 어떻게 하는가?
A. 마우스 휠을 누른채 움직이면, 화면이 따라 움직인다.
Q. 화면을 돌리고 싶은데 어떻게 하는가?
A. Alt + 마우스 휠을 누른채 움직이면, 화면이 돌아간다.
Q. 시점을 정확하게 맞추고 싶은데 어떻게 하는가?
A. 다음과 같은 방법을 쓰면 된다.
- 단축키 사용
- Viewport 좌측 상단, 현재 시점 눌러서 직접 바꾸기
- Viewport 우측 상단, View Cube 사용
Q. View Cube 가 무엇인가?
A. 화면의 시점을 시각화 한 것이다.
Q. View Cube가 사라졌는데 어떻게 다시 켜는가?
A. 상단 Menu Tab에서 Views > ViewCube > Show The ViewCube 를 다시 활성화하면 된다.
Q. Perspective와 Orthographic의 차이가 무엇인가?
A. 원근법의 적용여부가 다르다.
Perspective는 원근법이 적용되어 공간왜곡이 있다.
Orthographic은 원근법이 적용되지 않아 왜곡이 없다.
그래서 경우에 따라 적절한 View를 사용하면 된다.
Q. 많은 사람들이 3D View와 2D View라고 말하는데 따로 3D, 2D가 나뉘어 있는가?
A. 정확히 나뉘어 있는 것이 아니다.
그냥 통용적으로 2개의 축이 정렬되어 있으면 2D View라고 하고, 축 정렬이 되지 않았으면 3D View라 한다.
(Front, Back, Left, Right, Top, Bottom을 2D View라 하고, Perspective와 Orthographic을 3D View라 한다.)
Q. Viewport가 4개로 되어 있는데 배치를 다르게 바꿀 수는 없는가?
A. 좌측 하단의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나오는 Standard Viewport Layouts를 통해 바꿀 수 있다.
Standard Viewport Layout에서 원하는 레이아웃을 선택하면 Tab에 해당 레이아웃이 생성 되고, 레이아웃이 바뀐다.
Tab에 나온 레이아웃은 버튼으로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Q. 한 화면을 크게 보고 싶은데,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방법 밖에 없는가?
A. 화면을 크게 보고 싶은 것이라면 레이아웃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우측 하단의 8개의 버튼 중, 두번째 줄 가장 우측에 Maximize Viewport Toggle 버튼이 있다.
Maximize Viewport Toggle은 말 그대로, 선택한 Viewport를 최대로 키워서 전체화면처럼 만드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Maximize Viewport Toggle 기능은 Ctrl + W 로 단축키 등록이 되어 있다.
Q. Maximize Viewport Toggle를 제외한 다른 버튼들도 설명 부탁한다.
A. 기능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간략하게 설명하게 설명하겠다.
- Zoom : 선택한 Viewport 확대/축소
- Zoom All : 모든 Viewport 확대/축소
- Zoom Extents Selected : 선택한 오브젝트가 선택한 Viewport에 꽉차게 보이도록 확대/축소
- Zoom Extents All Selected : 모든 Viewprt에 꽉차게 보이도록 확대/축소
- Field-of-View : 카메라 렌즈를 변경한 것처럼, Viewport에 표시되는 장면의 양과 투시 플레어의 양을 조절
(확대할수록 장면이 덜 보이며 원근이 평평해지고, 축소할수록 장면이 더 보이며 원근이 왜곡된다.) - Pan View : Viewport 이동 (마우스 휠 클릭과 동일한 기능)
- Orbit SubObject : Viewport 회전를 회전하는 궤도 생성
(궤도 안에서는 자유롭게 회전하고, 궤도 밖은 상하로만 회전 가능하다.) - Maximize Viewport Toggle : 선택한 Viewport를 전체화면으로 하는 기능
Q. Zoom 도구를 이용하는 것과 마우스 휠로 하는 것에 차이가 있는가?
A. 기능적 차이는 없다.
다만, Viewport의 오브젝트가 많아서 무거워지면 Zoom 도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Zoom 도구를 이용하면 마우스 휠로 할 때보다 버벅거림이 줄어든다.
Q. 그렇다면 Pan View도 차이가 있는가?
A. Pan View는 큰 차이가 없다.
Q. Orbit SubObject은 언제 사용하는가?
A. Alt + 마우스 휠 클릭으로 Viewport 회전이 가능하다.
하지만 Zoom 도구와 똑같이 Viewport가 무거울 경우 Orbit SubObject를 사용하면 좋다.
Q. 어떤 Viewport를 선택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무엇인가?
A. 선택한 Viewport는 테두리가 (포토샵으로 색 추출해본 결과) #7c6a2c 으로 되어 있다.
Q. Viewport 좌측 상단 [+] 는 무엇인가?
A. [+]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메뉴가 뜬다.
Q. Active Viewport는 무엇인가?
A. 쓸 일은 없겠지만, 현재 선택한 Viewport를 보여주고 다른 Viewport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다.
그냥 Viewport에서 클릭 한번 해주면 선택되기 때문에 쓰지 않는 기능이다.
Q. Disable Viewport는 무엇인가?
A. Disable을 적용한 Viewport는 (활성화)선택하지 않으면 업데이트를 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업데이트라는 것은 오브젝트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것들을 얘기한다.
Q. Presentation Mode는 무엇인가?
A. Viewport의 오브젝트를 제외한 모든 것을 숨겨주는 기능이다.
Presentation Mode는 Float Viewport에서만 활성화할 수 있다.
아래 사진이 Presentation Mode를 적용시킨 것인데, Grid를 포함하여 ViewCube도 안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Q. 그렇다면 Flat Viewport는 무엇인가?
A. Viewport를 새로운 창으로 띄우는 것으로, 총 3개까지 띄울 수 있다.
Presentation Mode를 적용시키면 깔끔하게 결과물을 볼 수 있기 때문에 Preview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모니터를 2개 사용한다면, 모니터 하나에 해당 Viewport를 전체화면하고 Presentation Mode를 적용해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카메라를 배치했다면 카메라 시점으로 변경해서 띄워놓고 확인하면 작업하기가 편하다.
Q. SteeringWheels는 무엇인가?
A. 아래 사진처럼 Viewport에 관한 기능들이 모여 있는 도구 모음이다.
기본적으로 마우스 커서를 따라 움직이며, X 를 눌러서 끌 수 있다.
기능들이 어려운 것은 아니라서 설명은 하지 않겠다.
Q. xView는 무엇인가?
A. 오브젝트를 분석하고 다양한 잠재적 문제 및 오류에 플래그를 지정해 결과를 뷰포트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여러 기능들이 있지만 주로 쓰는 것은 전체 Vertex 수와 Polygon 수를 표시하는 Show Statistics이다.
기본적으로 숫자패드 7로 단축키 등록이 되어 있다.
Show Statistics를 활성화 하면 아래와 같이 Viewport의 전체 Vertex와 Polygon 수가 표시된다.
Q. Create Preview는 무엇인가?
A. 말 그래도 프리뷰를 만드는 기능이다.
애니메이션을 할 때, 매번 렌더링을 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에 프리뷰를 만들어 확인한다.
프리뷰로 확인 후 수정을 거듭하고, 프리뷰가 괜찮게 나오면 렌더링을 하는 식이다.
기본적으로 Shift + V 로 단축키 등록이 되어 있다.
프리뷰를 만드는 것은 다음에 따로 얘기하도록 하겠다.
Q. Configure Viewports...는 무엇인가?
A. Viewport에 대한 설정 창을 여는 것이다.
레이아웃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다.
Q. 2D Pan Zoom Mode는 무엇인가?
A. 렌더링 프레임을 변경하지 않고 확대/축소 하는 기능이다.
간단히 말해서 Viewport에 배경이미지를 넣었을 때, 배경이미지가 확대/축소가 되게 하는 것이다.
일반 Zoom은 배경이미지가 고정이되어 있어서 배경이미지는 확대/축소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2D Pan Zoom Mode를 사용하면 Viewport의 배경이미지도 같이 확대/축소가 된다.
Q. [Standard]을 간단하게 설명 부탁한다.
A. Standard 부분은 Viewport에서 표시되는 화면에 관한 설정들이 들어있다.
- ActiveShade : 렌더러를 사용한 결과물을 보여준다. (Arnold 또는 ART 렌더러일 때만 사용할 수 있다.)
- High Quality : Viewport 화면 품질을 높게 설정한다.
- Standard : Viewport 화면 품질을 표준으로 설정한다.
- Performance : Viewport 화면 품질을 최고로 설정한다. (성능 최대화)
- DX Mode : Viewport에 DirectX(Direct3D) 셰이더를 적용한다.
- Lighting and Shadows : Viewport에 표시되는 조명과 그림자에 대한 설정이다.
- Materials : Viewport에 표시되는 재질에 대한 설정이다.
- Viewports Configuration : Viewport에 관한 설정 창을 연다. (전체 Viewport 설정)
- Active Viewport Setting : 활성화 한 Viewport에 관한 설정 창을 연다. (특정 Viewport 설정)
Q. [Default Shading]을 간단하게 설명 부탁한다.
A. Default Shading 부분은 Viewport의 오브젝트 음영처리에 관한 설정들이 들어있다. (오브젝트의 텍스쳐 표시에 관한 설정들)
- Default Shading : 사용자가 설정한대로 음영처리를 한다.
- Facets : 스무딩 그룹 설정에 관계없이 모든 폴리곤을 개별적으로 음영처리하여 각져보이게 한다.
- Bounding Box : 각 오브젝트의 경계 상자 가장자리만 표시한다.
- Flat Color : 조명에 관계없이 형상을 평면 색상으로 음영 처리 한다. (그림자는 계속 표시)
- Hidden Line : Viewport에서 보이는 부분들을 Edge로 표시한다.
- Clay : 모두 균일하게 테라코타 색으로 음영처리를 한다.
- Model Assist : 스무딩 그룹이 없을 때 표시되는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면을 음영 처리한다.
- Stylized : 비사실적 스타일(연필, 잉크,아크릴, 파스텔 등)이 포함되어 있다.
- Wireframe Override : 오브젝트의 Edge를 모두 표시된다. (Viewport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들도 표시)
- Edged Faces : 다른 음영처리 위에 Hidden Line을 더 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Display Seleted : 선택한 면을 표시하기 위한 옵션이다.
- Viewport Background : 뷰포트 배경에 대한 옵션이다.
- Viewport Filter : 활성화 한 Viewport에 관한 설정 창을 열어서 Filter Tab을 보여준다.
Q. 추가적으로 설명할 것이 있는가?
A. 크게 중요한 내용은 없다.
다만, 유용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하나 있다.
[Perspective] 부분에 있는 Viewport Clipping 기능이다.
Q. Viewport Clipping이 무엇인가?
A. Viewport에서 표시하는 지점을 조절하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앞뒤에 일정한 기준점이 있고, 그 기준점 사이가 Viewport에서 보이는 범위인 것이다.
또한 모델링의 문제가 없는데 화질이 깨져보이는 경우, 대부분 Viewport Clipping을 조절해주면 올바르게 보인다.
Viewport Clipping은 결국 Viewport에서 보여지는 것을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브젝트를 수정하다가 다른 오브젝트가 방해될 때, Viewport Clipping으로 방해되는 오브젝트를 안 보이도록 하면 편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댓글